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채용
- 채용담당자
- 공약모음집
- 로지컬띵킹
- 근참법
- 데이터분석
- 취업규칙 불이익변경 판례변경
- 사회통념상합리성
- 취업규칙불이익변경
- 공부자극영상
- 리쿠르팅
- 취업규칙개정
- 직장인공부영상
- 집단적동의권남용
- 공헌이익
- 근로기준법
- HR인사이트
- HRAnalytics
- 정당공약
- 업무생산성
- recruiting analytics
- 플랜75
- 이재용회계사
- 경영상해고
- recruiting
- 그랜드마스터클래스
- 그랜드마스터클래스2024
- HR운영모델
- 스프레드시트단축키
- 사내추천제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근참법 (1)
HR과 미래를 공부하자 ;)

(과반수 노조가 없는 경우)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은 근로자 과반수가 참여하여 직접ㆍ비밀ㆍ무기명 투표로 선출한다. 상시 30명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이 아니라면 '노사협의회'를 설치해야합니다. 사용자위원과 근로자위원을 동수로 선출해야하는데요. (3명 이상 10명 이하 규모)사용자위원은 사용자가 위촉해야하지만 (과반수 노조가 없는 경우) 근로자위원은 '선출'이라는 절차를 거쳐야합니다. [의결정족수] 근로자참여법 제6조 제 2항에 따르면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즉 '근로자위원'을 선출하기 위해서는 근로자 과반수가 참여해야합니다. [찬성수/득표수] 의결정족수에 대한 내용은 근로자 참여법에 있지만 몇 명이상 '찬성'을 해야하거나 참석자의 '과반수' 표를 득표해야한다는 등 별도의..
한줄 HR
2024. 6. 23. 22:49